본문 바로가기

체중 비만 확인, BMI만으로 충분할까? 최신 기준 총정리

위아더정보 2025. 4. 23.

 

 

체중 비만 확인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안녕하세요! 😊 여러분의 건강 지킴이가 되고 싶은 블로거예요.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체중 때문에 속상하신 분들, 혹시 계신가요? 어쩐지 옷이 점점 작아지는 것 같고, 거울 속 내 모습이 낯설게 느껴질 때가 있죠. '내가 정말 살이 찐 건가?', '혹시 비만은 아닐까?' 하는 걱정이 스멀스멀 피어오르기도 하고요.

예전엔 날씬했던 것 같은데, 어느새 배가 불룩 나온 내 모습을 발견하면 조금 속상하기도 하잖아요? 과체중이라는 말을 듣기도 하고요. 이러다 정말 비만이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과체중 은 정상 체중을 넘어섰지만 아직 비만까지는 아닌 상태를 말해요. 딱 비만으로 가기 직전 단계라고 할 수 있죠! 반면 비만 은 과체중 상태를 넘어서서, 여러 가지 건강 문제에 노출될 위험이 커질 정도로 체중이 많이 나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사실 우리나라 성인들의 비만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특히 복부 비만이나 고도 비만 인구가 늘고 있다는 점은 걱정스러운 부분이죠. 비만은 단순히 외모의 문제를 넘어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만성 질환은 물론이고 심혈관 질환, 각종 암, 관절 질환 등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된답니다. 생각보다 훨씬 많은 질병들이 비만과 관련이 깊어요.

그래서 오늘은 내 체중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복잡한 검사 없이도 키와 몸무게, 그리고 줄자 하나만 있으면 된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내 몸 상태, 숫자로 체크해볼까요? 첫 번째, 체질량지수(BMI)!

가장 널리 쓰이고 간편하게 내 체중 상태를 가늠해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예요. 계산기만 있으면 정말 순식간에 확인 가능해요!

BMI, 어떻게 계산하나요?

계산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자신의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누면 끝! 참 쉽죠?

  • BMI = 체중(kg) ÷ (키(m) × 키(m))

예를 들어 키를 cm로 알고 있다면 m로 바꿔서 계산해야 해요. 170cm라면 1.7m로 계산하는 거죠!

예를 들어 함께 계산해봐요!

자, 그럼 예를 들어볼게요. 만약 키가 175cm이고 체중이 75kg인 성인 남성이라면 어떻게 계산할까요?

  • BMI = 75kg ÷ (1.75m × 1.75m)
  • BMI = 75 ÷ 3.0625
  • BMI ≈ 24.5

이렇게 계산된 BMI 값은 약 24.5가 나왔네요!

내 BMI 점수는 어떤 의미일까요?

계산한 BMI 숫자가 나왔다면, 이제 아래 표를 보고 내 체중 상태가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해 볼 차례예요.

내 체중 상태 계산한 체질량지수(BMI)
저체중 18.5 미만
정상체중 18.5 이상 23 미만
과체중 23 이상 25 미만
비만 (1단계) 25 이상 30 미만
비만 (2단계) 30 이상 35 미만
고도 비만 35 이상

위 예시에서 계산된 BMI 24.5는 '과체중' 범위에 해당되네요! 정상 체중 범위에서 살짝 벗어난 상태이니, 조금 더 건강 관리에 신경 쓰면 좋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겠죠?

BMI가 전부는 아니에요!

하지만 BMI가 모든 것을 말해주는 건 아니에요! 예를 들어 근육량이 아주 많은 운동선수 같은 경우에는 체중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BMI 수치가 높게 나올 수도 있거든요. 그러니까 BMI는 내 몸 상태를 파악하는 여러 지표 중 하나로 참고하시는 게 좋아요~!

숫자 너머의 비밀, 허리둘레에 주목하세요!

BMI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안심할 수만은 없어요! 왜냐하면 우리 몸의 지방 분포, 특히 복부 지방 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죠. 바로 이 복부 비만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허리둘레 측정 입니다.

뱃살, 특히 배 안쪽 장기 사이에 끼어있는 내장 지방 은 눈에 잘 보이지 않더라도 혈관 건강이나 대사 증후군 위험을 높이는 주범이 될 수 있어요. 그래서 체중은 정상이지만 배만 볼록 나온, 소위 '마른 비만'이신 분들은 허리둘레를 꼭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앗! 줄자 어디 갔지? 정확하게 재는 법!

집에 있는 줄자 하나만 준비해주세요! 허리둘레를 잴 때는 다음 단계를 따라 해 보세요.

  1. 양쪽 발을 25~30cm 정도 벌리고 서서 숨을 편안하게 내쉽니다.
  2. 갈비뼈 가장 아랫부분과 골반뼈 가장 윗부분(옆구리 쪽에서 만져보세요!)의 중간 지점을 찾습니다. 보통 배꼽 높이 정도가 될 거예요.
  3. 줄자가 피부를 너무 누르거나 느슨하지 않게 수평으로 두른 후, 숨을 내쉰 상태에서 측정합니다.

측정할 때 배에 힘을 주거나 숨을 참으면 정확한 수치가 나오지 않으니 주의해주세요!

그래서, 내 허리둘레는 괜찮은 걸까요?

자, 측정한 허리둘레 수치가 나왔나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기준으로 성인 남성은 90cm 이상, 성인 여성은 85cm 이상 일 경우 '복부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복부 비만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의 위험을 높이는 신호일 수 있으니 꼭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해요.

마른 비만? 허리둘레가 중요한 이유!

가끔 "나는 BMI는 정상인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세요. 하지만 BMI가 정상이더라도 허리둘레가 기준치를 넘는다면 복부 비만, 즉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상태일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 눈에 보이는 체중 숫자뿐만 아니라, 내 몸의 지방이 어디에 쌓여있는지가 더 중요할 수 있답니다.

BMI와 허리둘레 말고 또 뭐가 있을까요?

BMI와 허리둘레 측정 외에도 내 체중 상태를 가늠해볼 수 있는 방법들이 더 있어요.

표준체중 백분율(PIBW)이라는 것도 있어요!

PIBW(Percent of Ideal Body Weight)는 현재 내 체중이 이상적인 표준 체중과 비교해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방법이에요. 표준 체중을 계산하고, 내 실제 체중을 표준 체중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해서 구하죠.

  • 표준 체중 계산 (대략적인 방법)
    • 남성: 키(m) × 키(m) × 22
    • 여성: 키(m) × 키(m) × 21
  • 비만도(%) = (현재 체중 ÷ 표준 체중) × 100

이 계산법으로 110~119%는 과체중, 120%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하기도 한답니다. 이것 역시 참고 지표로 활용해보세요.

참고! 키별 정상 체중 범위 살짝 엿보기

아래 표는 키에 따른 대략적인 정상 체중 범위를 보여줘요. ±10% 정도는 정상 범위로 보기도 하니, 간단하게 내 위치를 가늠해보는 용도로 참고해보세요! 하지만 사람마다 골격이나 근육량이 다르니,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라는 점~!

남자 정상 체중 범위 여자 정상 체중 범위
150cm 45kg ~ 54kg 43kg ~ 52kg
155cm 48kg ~ 57kg 46kg ~ 55kg
160cm 51kg ~ 61kg 49kg ~ 58kg
165cm 55kg ~ 64kg 53kg ~ 62kg
170cm 59kg ~ 68kg 56kg ~ 65kg
175cm 63kg ~ 72kg 60kg ~ 69kg
180cm 67kg ~ 76kg 64kg ~ 73kg

숫자가 다는 아니죠! 건강한 습관이 중요해요

지금까지 여러 숫자를 통해 내 몸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숫자에 너무 얽매이지 않는 거예요! BMI나 허리둘레 수치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건강한 생활 습관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랍니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즐겁게 할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 이런 기본적인 것들이 내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핵심이라는 사실, 꼭 기억해주세요.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들어요 ^^

만약 내 체중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해서 너무 좌절하거나 스트레스받지 마세요! 중요한 건 지금부터라도 건강한 변화를 시작하는 거니까요. 오늘부터 딱 한 가지라도 좋아요.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거나, 물을 한 잔 더 마시는 것처럼 작은 습관 하나가 쌓여서 놀라운 변화를 만들 수 있답니다.

자, 이제 여러분의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한번 확인해보시겠어요? 내 몸 상태를 정확히 아는 것이 건강 관리의 첫걸음이랍니다. 너무 걱정만 하기보다는, 오늘부터 나를 위한 건강한 습관 하나씩 즐겁게 만들어나가요! 우리 모두 더 건강하고 활기찬 날들을 보낼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댓글